질병관리본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비만 환자는 10명 중 3명으로 전문가들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하루 종일 모니터 앞에 앉아 일을 하느라 운동량이 부족하고 불규칙한 식사 및 각종 인스턴트식품을 섭취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비만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close

 

비만이란 단순히 키에 비해 체중이 많이 나가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체내에 과도한 체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뜻한다. 한국인 비만 진단 기준인 BMI 25(kg/m²) 이하의 체중이라도 남성 25%, 여성30% 이상의 체지방률을 보인다면 최근 늘어나고 있는 마른비만에 해당된다고 진단할 수 있다. 





특히 대표적인 마른비만·내장비만으로 분류되는 복부비만은 합병증인 대사증후군 발생률을 높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허리둘레가 남성 90cm, 여성 85cm를 넘으면 내장비만을 의심해볼 수 있다. 복강 내 쌓인 과다 지방조직으로 만들어진 지방산이 간으로 들어가는 혈액 중에 많아지면 간, 근육 세포는 포도당 대신 지방산을 이용하게 되고 인슐린 저항성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혈당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극받아 인슐린을 더욱 활발하게 분비해 고인슐린혈증과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 유발뿐만 아니라 높아진 혈중 인슐린은 콩팥의 염분 배설 작용을 억제해 체내의 염분 농도를 높이고 이는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렇듯 고인슐린혈증은 혈중의 중성지방을 증가시키는 반면 H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이상지질혈증 및 죽상동맥경화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 또한 높아진다. 


복부비만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잘못된 식습관 개선으로 복부비만의 경우 특히 간식, 야식, 술과 안주 등을 제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성인의 경우 저녁을 대신해 술과 안주로 배를 채우는 경우 폭식의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알코올은 1g당 7kcal의 고칼로리 성분으로 영양가는 없는 Empty Calorie Food이기 때문에 술을 마시게 될 경우 체중 감소를 위해 채소 및 해조류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채소에는 다량의 수분과 식이섬유가 함유돼 포만감을 느끼게 하며 각종 비타민, 무기질이 함유돼 건강한 다이어트를 위해 꼭 필요한 식품이다. 과일의 경우는 몸에 좋은 영양소를 많이 포함하나 당분이 많은 과일의 경우 열량이 높으므로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섭취량을 적당히 조절해야 한다.


누베베한의원 조가원 원장은 "복부비만과 같은 내장비만은 표면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욱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 원장은"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건강하게 개선해 적정한 체중과 체지방률을 유지한다면, 길어진 평균 수명시대에 비만 없이 보낼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