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수소폭탄 위력 실험 미사일 얼마나 위협적?



수소폭탄(수소탄)은

수폭·열핵폭탄이라고도 한다하는데요.


 오늘날은 원자폭탄(우라늄 235와 플루토늄 239의 분열폭탄)

을 방아쇠로 하는 고온·고열하가 아니면 융합반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열핵무기(熱核武器) 

또는 핵융합무기라고도 한다하는데요.


영상으로 만나보시죠.






수소폭탄이란 위력 수소탄이란- 위력 파괴력? 


전형적인 반응식은 삼중수소와 

이중수소가 고온하에서 반응하여 헬륨의 원자핵이

 융합되면서 중성자 1개가 튀어나오게

 되는 것이다하는데요. 


이들 수소는 액체 상태의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습식(濕式)이라 한다하는데요. 그런데 

이것은 냉각장치 등으로 부피가 커서

 실용에는 적합하지 않다고합니다. 





따라서 리튬과 수소의 화합물(고체)을

 사용하는 건식(乾式)이 개발되었다하는데요.

 그 반응의 예를 들면 중수소화 리튬이 

고온하에서 중성자의 충격을 받으면 헬륨과

 2중수소와 삼중수소가 생성되고, 


다시 이중수소와 삼중수소가 융합하여

 헬륨이 생겨나고, 중성자가 튀어나오게

 되는 식이다하는데요. 


수소폭탄의 반응에는 임계량(臨界量)이 

없으므로 이론적으로는 

대형화·소형화가 가능하다하는데요.



수소폭탄이란 위력 수소탄이란- 위력 파괴력? 


최초의 수폭실험은 1952년 미국의 습식이, 

1953년 소련의 건식이 성공하였으며, 

지금까지 실험된 최대의 것은 소련의 57Mt급이다하는데요. 


수소폭탄에는 수소폭탄·초우라늄폭탄·

순융합폭탄 등이 있다고 합니다.



수소 융합반응에서는 분열생성물과 

같은 다량의 방사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수소폭탄은 비교적 '깨끗한 수폭'이지만, 


수소폭탄의 주위를 우라늄 238로

 싼 초우라늄 폭탄은 수폭의 융합반응에서

 발생하는 고속중성자에 의해 보통은 

비분열성인 우라늄 238로 분열반응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보다 큰 폭발력과 함께 

다량의 방사능을 발생하는 '더러운 수폭'이며, 

이 폭탄을 3F 폭탄이라 한다하는데요. 


우라늄 238 대신에 코발트를 사용한 

코발트폭탄, 질소화합물을 사용한 

질소폭탄도 있다고 합니다.





전쟁은 정말 무서운 것인데 수소폭탄 위력

 및 수소탄 위력이

너무 무서워서 걱정이네요.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