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를 치르는 수험생이나 학부모는 전형도 다양하고 과연 대학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이나 합격 점수 등 궁금한 것이 매우 많을 것이다. 그렇다고 입시 정보를 어디서 얻을 것인지도 막막하고, 학원 등에서 실시하는 설명회를 들어도 주로 상위권 대학이나 아니면 특정적으로 성적이 안 좋은 학생도 어느 대학을 합격했다는 이야기로 현실과 동떨어진 내용 때문에 실망한 적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어쩔 수 없이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설명회를 찾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좋은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가 많이 있다.

유용한 정보가 있는 사이트를 찾아 보고 그곳의 특징을 알아보자. 


직업·진로에 대한 사이트의 경우 고용노동부 워크넷에 가면 직업심리 검사를 비롯해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고등학생 적성검사, 청소년 적성검사(중학생용), 직업가치관검사, 청소년 진로발달검사를 할 수 있다. 또 진로에 대한 상담도 온라인으로 받을 수 있다. 



커리어넷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다. 여기는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직업·학과 정보, 진로 동영상, 진로 교육자료 등 학교생활기록부의 창의적 체험활동 상황 중 진로활동에서 진로심리검사에 대한 내용을 기술할 수 있는 사이트다. 입시정보의 경우 먼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들어가 보면 '대학을 알면 미래가 보입니다'라는 말처럼 대학알리미, 대입뉴스, 대입 대학정보, 학과정보, 전형정보, 온라인대입상담 등 입시에 관련된 내용이 많이 있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학력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모의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등에 대한 자료를 찾아 볼 수 있다.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는 진로 정보, 진로적성검사, 대학진학 정보(수시전형, 정시전형, 학습전략·기출문제, 대입자료실), 고교진학정보 등 진로·진학에 대한 내용이 매우 풍부하다. 



또한 인천광역시교육청 진로진학지원센터는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 운영하며 진학 상담, 대입 전화상담, 대입정보, 고입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학교알리미는 초·중·고교 정보 공시제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전국 초·중·고교의 학생 현황, 교원 현황, 교육활동, 교육 여건, 학업성취도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대학교 홈페이지가 제일 중요한 사이트라고 볼 수 있다.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홈페이지에서 건학 이념, 학생상, 그해의 수시·정시모집 요강 및 다음 학년도 입학전형계획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학교의 요강을 보면 입시를 파악할 수 있기에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만큼은 꼭 찾아 봐야 한다. 그리고 학교생활기록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이트를 알아보면 K-무크가 있다. K-무크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다.


서울대, KAIST 등 국내 유수 대학의 강좌로 모든 사람이 수강 가능하고 생기부의 자율활동, 진로활동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코세라는 해외 대학교 온라인 강의로 컴퓨터, 경제, 의학, 물리, 인문학 정보 등의 내용이 담겨 있으며 K-무크와 비슷하다. 그리고 봉사 실적과 관련된 내용을 알고 싶으면 1365자원봉사포털에 가보면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개인봉사참여로 검색하여 봉사활동을 하고 시간인증을 받아 자원봉사 실적을 나이스와 연계시킬 수 있다. 위 사이트를 찾아보면 학생이나 학부모가 궁금해 하는 진로, 입시, 봉사 등 유용한 자료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많이 활용할 수 있다. 


자료- 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348743

300x250